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나만의 롤모델이 필요한 이유 '사회 학습 이론'

by 7hinking 2024. 4. 8.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는 1963년에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ning theory)'을 처음으로 제안했습니다. 캐나다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 앨버트 밴듀는 1977년 출간한 《사회학습이론》을 통해 사회학습이론의 학문적 발판을 마련한 심리학자로, 초기에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 출발해 나중에는 인지적 측면을 중시하는 사회학습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밴듀라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것을 모방하면서 행동하는 법을 학습한다고 주장했는데요, 사회 학습 이론은사람의 행동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상황을 관찰하거나 모방한 결과로 이루어진다는 교육심리학 이론입니다.

 

 

사회학습이론에서는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는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달리,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인지과정도 중시합니다. 다시 말해 관찰학습을 통해 형성된 정보는 자기 효율성이라는 강화(强化)를 통해 필요성이 있을 때 행동으로 옮겨지는데, 이처럼 관찰에서 행동에 이르기까지는 4가지 단계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4가지 단계는 첫째, 관찰을 통한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행동이나 상황이 관찰자의 주의를 끌어야 하며, 이를 집중 단계라고 합니다. 둘째, 관찰을 통해 학습한 정보를 기억하는 단계로 이 단계가 인지과정으로, 학습한 정보가 내적으로 보유·강화되는 단계입니다. 셋째, 저장된 기억을 재생하는 단계로, 학습한 내용과 관찰자의 행동이 일치하도록 자기 수정이 이루어지는 단계입니다. 넷째, 학습한 내용대로 행동에 옮기기 전에 기대감을 갖게 만드는 동기화 단계입니다.

사회학습이론에서는 다른 사람의 행동, 인지구조 등을 중시하는 것 외에 대중매체를 통해 제시되는 모델, 여러 환경의 상호작용 등도 중요한 학습 요인으로 다뤄집니다.

 


모델링과 모방

사회 학습 이론에서는 아이가 본보기의 행동을 관찰한다고 보는데요, 부모처럼 아이가 아는 사람이 본보기가 될 수도 있고, 유명인처럼 멀리서 관찰할 수 있는 사람이 본보기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은 이런 본보기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억한 다음, 그 행동을 모방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밴듀라는 고전적 조건 형성과 조작적 조건 형성 개념에 동의하며 이를 기반으로 이론을 확장했는데요. 그는 인간은 그저 주변에서 발생하는 자극에 반응하는 수동적 학습자가 아니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인간은 적극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행동과 결과 사이의 연관성을 생각한다고 믿었습니다. 이런 생각이 행동을 중재하므로 인간은 자기가 관찰한 모든 행동을 자동으로 모방하지는 않는다고 생각했고, 이를 가리켜 '중재 과정(mediational process)'이라고 합니다.

 

밴듀라는 아이가 관찰한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에는 몇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봤는데요.

 

● 아이가 그 행동이 강화되는 모습을 보는지 아닌지의 여부.  본보기가 어떤 행동을 하고 나서 보상받는 모습을 보면 아이가 그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가리켜 '대리 강화(vicarious reinforcement)'라고 합니다.

● 아이가 본보기와 자신을 어떤 식으로든 동일시할 수 있는지의 여부. 예를 들어 아이와 본보기가 같은 성별일 경우 등 입니다.


공격적인 본보기의 모방을 통한 공격성 전이

<공격적인 본보기의 모방을 통한 공격성 전이>라는 이 실험은 '보보 인형' 연구로 널리 알려진 여러 실험 중 하나입니다. 이 실험은 모방으로 공격적인 행동을 학습할 수 있는지를 조사한 연구인데요. 이 연구는 스탠퍼드대학교 부설 유아원에서 생후 36개월에서 52개월 사이의 남아 36명과 여아 36명을 모집하여 실시되었습니다. 아이들은 비공격적인 본보기를 관찰하거나, 공격적인 본보기를 관찰하거나, 통제 조건을 관찰하는 세 가지 실험 조건 중 하나에 참여되었습니다. 본보기는 아이들이 모르는 성인 실험자였고, 공기를 넣어 부풀리는 보보 인형과 상호 작용했습니다.

 

□ 공격적 본보기 : 방에 들어가서 1분 정도 장난감을 가지고 차분하게 놀던 본보기가 보보 인형을 가지고 공격적으로 놀기 시작합니다. 인형을 주먹으로 치고 발로 차기도 하며 고무망치로 때리기도 합니다.

□ 비공격적 본보기 : 본보기가 장난감을 가지고 차분하게 놀면서 보보 인형을 무시합니다.

□ 통제 조건 : 본보기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이 연구로 연구팀은 공격적인 본보기를 관찰한 아이들이 실제로 보보 인형에게 더 공격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크다는 결과를 얻게되었습니다. 공격적인 집단에 참가한 아이들은 신체적, 언어적 공격성을 모두 모방한 반면, 비공격적 집단과 통제 집단 중 약 70%는 전혀 공격성을 드러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연구팀은 공격적인 조건에서 남아가 여아보다 신체적으로 더 공격성을 나타냈고, 언어적 공격성은 남아와 여아가 모두 비슷하게 모방하는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또한 남아와 여아 모두 남성 본보기가 보인 신체적 공격성을 더 많이 모방했는데, 연구팀은 그 원인이 성차별 및 성역할 때문일 수 있다는 이론을 세웠습니다. 어린이들은 남성이 공격성을 보였을 때는 "그 남자는 싸움을 잘해요"와 같은 말을 했지만, 여성이 공격성을 보였을 때는 "여자가 그렇게 행동하면 안 돼요" 같은 말을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에서 본보기가 공격성을 보이는 모습을 녹화한 자료로 비슷한 실험을 되풀이했는데요. 사람들이 공격성을 드러내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면 카타르시스를 느껴 공격 성향이 줄어든다는 유명한 이론을 검증하려 한 것입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실제로 관찰한 공격성을 모방하는 만큼 영상 속의, 심지어 만화에 나오는 공격성까지도 모방하는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또 본보기가 보상이나 처벌을 받는 모습을 보게 되면, 아이가 공격적인 행동을 모방할 가능성에 영향이 있는지 알기 위해 비슷한 실험을 반복했더니, 그 결과 역할 본보기가 처벌 받는 것을 보았을 때는 모방 가능성이 낮아지는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본보기의 행동에 아무런 보상이나 처벌이 없었을 때에도 여전히 모방할 가능성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응용

이 이론은 범죄 행위를 어떻게 학습하는지와 같은 여러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데 적용할 수 있습니다. 범죄를 저지르는 또래 집단이나 가족이 있는 환경에서 자란 사람은 이런 역할 본보기를 보고 배운다고 합니다. 범죄자들이 자기가 원하는 부나 소유물을 얻는 모습을 보면서 그런 행동이 강화되기도 하고, 이런 대리 강화가 그 행동을 모방하도록 부추기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