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주식연계채권을 나타내는 메자닌 금융 뜻과 기운 –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특징

by 7hinking 2024. 3. 29.

미국발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시장에 유동성이 돌면서 증시가 활황을 보이자 이자 수익과 함께, 발행사의 주가가 오르면 시세차익까지 얻을 수 있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등 주식연계채권(메자닌)의 발행이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최근 여러 기사들에서 보면 고액 자산가들 사이에서 최근 열풍인 공모주와 메자닌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펀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관련 기사를 읽으며 주식연계채권인 메자닌이 무슨 뜻일지 궁금해졌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메자닌의 뜻과 메자닌 금융 등에 대해서 알아보려 합니다.

 


메자닌(Mezzanine) 뜻

메자닌은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한 건축용어로서, 주 층면의 중간에 위치한 층을 가리킵니다. 보통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중간층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중간층은 복층의 2층 공간이거나 작은 갤러리 혹은 회의 공간으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메자닌은 비유적인 의미로도 사용되는데요. 무언가의 중간 단계나 중간 수준을 나타내는데, 보통 특정한 계층이나 단계 사이에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자닌 금융(Mezzanine Financing)

메자닌 금융은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는 여러 방법 하나인데요. 기업이 주식 발행이나 대출 등의 전통적인 자금 조달 방법 이외에 중간 단계로서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자닌금융은 보통 기업이 성장하며 확장이 필요하거나, M&A 시도하거나, 기타 기타 대규모 프로젝트를 위해 추가 자금을 필요로 활용된다고 합니다. 이는 주로 기업의 자본 구조에서 주식과 대출 사이의 중간 위치에 있기 때문에메자닌(Mezzanine)’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주로 메자닌 금융은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모두 지닌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 등을 의미합니다. 메자닌 금융은 주로 성장 중인 기업이나 고부가가치를 갖는 사업에 대해 사용되며, 전통적인 대출이나 자본 조달 방법으로는 충분한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이렇게 메자닌(Mezzanine)이라는 생소한 단어의 뜻과 단어에서 파생된 경제금융 용어인 메자닌 금융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렇게 알아보는 과정 중에 신주부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라는 용어가 나왔는데. 메자닌 금융을 나타내는 이 2 경제금융 용어도 낯선거는 마찬가지 이기 때문에 이 2용어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 란?

신주인수권부사채(주식인수권부사채, Bond with Warrant)는 기업이 자본을 조달하는 방법으로서 메자닌금융의 형태인데요. 신주인수권부사채는 일종의 채권이며, 채권을 보유한 자는 특정 기업의 주식을 특정 가격에 일정 기간 동안 구매할 권리를 가집니다.

 

신주인수권부사채 특징

1. 권리행사기간 : 일반적으로 특정 기간 동안 주식을 구매할 있는 권리를 부여합니다. 기간은 일반적으로 채권 발행 정해지며, 종료 시까지 권리를 행사할 있습니다.

 

2. 행사 가격 : 신주인수권부사채로 주식을 구매하기 위한 행사 가격은 주식인수권부사채가 발행될 미리 정해집니다. 가격은 일반적으로 현재 주식 시장 가격보다 낮게 설정될 됩니다.

 

 

3. 주식 발행 : 신주인수권부사채 소지자가 권리를 행사할 , 기업은 주식을 발행하여 그에 상응하는 자금을 조달합니다.

 

4. 위험과 수익 :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보유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위험과 수익을 모두 제공합니다. 주식 시장 가격이 행사 가격보다 낮을 경우 권리를 행사하지 않을 것이므로 손실이 발생할 있지만, 주식 시장 가격이 행사 가격보다 높을 경우 수익을 얻을 있습니다.


전환사채(CB) ?

전환사채(Convertibel Bond; CB)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의 유형입니다. 전환사채는 일정 기간 동안 일정 이자율로 이자를 지급하고, 만기에는 원금을 상환받을 있는데, 특별한 권리로 인해 채권 소지자는 만기 전에 주식으로 전환도 가능합니다.

 

전환사채 특징

1. 이자지급 : 전환사채가 발행되면 채권의 발행액에 따라 일정한 이자율에 따라 이자를 지급합니다.

 

2. 만기일 : 전환사채에는 채권 발행 미리 정해지는 만기일이 있으며, 해당 날짜에는 원금이 상환되어야 합니다.

 

3. 전환권 : 전환권이 있어서 전환사채가 메자닌 금융으로 불리는데요. 전환사채 소지자는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채권을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 조건은 종종 특정 주가나 일정 기간의 기간 등을 포함한다고 합니다.

 


이상으로 메자닌, 메자닌 금융 그리고 대표적인 메자닌 금융 종류인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뜻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