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과 고령화가 사회 문제가 되었는데요. 급격히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로 인해 2032년부터 한국의 실질금리가 빠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고령화로 잠재 성장률이 낮아지고 있는데, 실질금리 상승으로 ‘고금리’ 부담까지 더해져 우리 아이들이 성인이 될 미래세대의 부담이 커질 것 같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실질금리 란?
실질금리는 물가상승을 감안한 금리를 의미합니다. 앞으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면 투자자는 실질금리에 예상 인플레이션(물가상승률)을 더한 만큼의 이자율을 받으려는 경향을 보이기 마련인데요. 이때 금리를 명목금리(nominal rate of interest)이라고 하는데요. 다시말해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예상인플레이션율을 뺀 것입니다.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률(예상 인플레이션)
명목금리 란?
명목(名目) 즉 눈에 보이는것을 뜻 하는데요. 명목금리란 물가상승률이 반영되지 않은 금리를 의미합니다. 대출, 예금, 채권 등 금리 상품의 이자율을 나타내는 개념 중 하나인데요, 예를 들면 연 6%의 이자를 주는 적금을 든다고 하면 명목금리는 6%가 되는 것 입니다. ‘한국은행 경제금융 용어 700선’에 따르면 명목금리는 ‘돈의 가치 변동을 고려하지 않고 외부로 표현된 표면상의 금리’를 의미합니다.
고령화로 인한 실질금리 상승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실질금리는 2031년 저점을 찍고 2032년부터 줄곧 상승할 전망이라고 하는데요. 202년 실질금리를 연 0%로 가정한 해당 연구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실질금리는 2031년 연 -2.14%까지 낮아졌다가, 2032년부터 반등을 시작한 후, 2040년 연 -0.25%, 2050년 연 1.26%, 2060년 연 3.29%, 2070년 연 5.15%까지 상승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대로 실질금리는 경제 주체가 피부로 느끼는 이자 부담의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인데, 2070년 만약 대출을 받는 개인이 느낄 이자 부담이 2020년보다 평균적으로 약 5% 이상 높다는 의미가 되는 것입니다.
위 연구에서 2031년 전후로 실질금리 추이가 달라지는 이유는 우리나라 인구를 구성하는 연령층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가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는 과정 가운데 2031년까지 실질금리가 낮아질 것으로 예쌍되는 것은 50~74세 인구 비중이 늘어나기 때문인데요. 50~74세 초기 노년층을 포함하는 이들 연령대는 은퇴 등으로 이전보다 근로 소득이 일부 줄지만 자녀의 독립 등으로 주택 마련과 양육을 위한 지출이 대폭 감소하는 시기로 인해 평균적으로 금융 자산이 가장 많고 순저축도 많아서, 50~74세 인구 비중의 상승은 실질금리에 하방 압력을 준다고 합니다.
문제는 75세 이상의 인구인데요. 75세 이상은 의료비 지출 급증과 증여 등으로 기존에 보유하던 금융자산을 대부분 소진하기 때문에 순저축이 감소하는 시기이며, 또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높아지면 이들의 연금과 의료비 등을 지원하는 목적의 세금이 늘어 근로자층의 순저축까지 감소하게 됩니다. 결과적으로 75세 인구 비중 증가는 국가 단위의 순저축 감소를 유발해 실질금리 상승을 이끈는데, 통계청은 한국의 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20년 6.8%에서 2070년 31%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서 2032년부터 실질금리가 상승 압력을 받아서 2070년까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연구는 분석하고 있는 것입니다.
즉, 그동안 낮게 유지되던 75세 이상 최고령층 인구 비중이 높아지면서 의료비 지출 등으로 국가적 차원의 순저축(저축-차잎)이 감소하여, 순저축이 줄어들면 자금의 공급보다 수요가 커져 실질금리가 상승한다는 이야기라고 합니다.
이상으로 초고령화로 실질금리가 상승하여 미래세대 부담 커진다는 기사를 읽고 실질금리와 명목금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고, 초고령화 사회가 실질금리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도 모두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 빅컷 결정: 경기둔화 대응과 시장 전망- 빅컷 뜻, 점도표 뜻 등 (1) | 2024.09.20 |
---|---|
리쇼어링, 니어쇼어링, 프랜드쇼어링: 글로벌 비즈니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4.06.01 |
파동 원리 분석법 상승/하락 파동, 상승/하락 추세, 쌍바닥/쌍봉 매매타이밍 (1) | 2024.04.02 |
주식연계채권을 나타내는 메자닌 금융 뜻과 기운 – 신주인수권부사채, 전환사채 특징 (2) | 2024.03.29 |
마이너스 금리 해제해도 일본 엔저 현상이 계속되는 이유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