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2

아이의 iPhone이 걱정되어 지켜보고 싶으면 「스크린 타임」을 설정해 보세요. 자녀를 키우시는 부모님들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이 필요해졌을 때, 아이가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기능을 제한하고 싶다거나, 스마트폰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지켜보고 싶다라고 하는 욕구가는 많을 것입니다. 아이가 혹시나 유해한 사이트를 방문하거나 게임을 너무 많은 시간 하지는 않을지 걱정이 되는게 사실인데요. 요즘 아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iPhone을 스마트폰으로 선택했다면, 추천하고 싶은 것이 「스크린 타임」의 활용입니다. 아이폰 스크린타임 스크린 타임은 iOS12 및 macOS Catalina부터 도입된 애플의 유해매체 필터링 소프트웨어입니다. 스크린타임을 통하여 사용자가 어떤 앱이나 웹사이트에서 얼마만큼의 시간을 소비하였는지 알 수 있으며 각종 기능의 제한 등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 2024. 4. 11.
세상을 이해하는 방법 '인지심리학' 1950년 앨런 튜닝은 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발표했는데요. 이 논문은 "나는 '기계가 생각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곰곰이 생각해 보라고 제안한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합니다. 동시에 우리가 인간의 사고를 고려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일고 있었고, 심리학자들은 인간이 실제로 기계처럼 생각하는지 고민했습니다. 점점 더 복잡한 컴퓨터들이 등장하면서 심리학자들에게는 기억, 지각, 주의 같은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이 생겼고, 예전에 행동주의자들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고 여겼던 ‘블랙박스’를 조사할 새로운 방법이 생겼고, 이는 심리학에서 기억과 사고, 의식 과정, 지각, 문제 해결과 같은 연구 주제를 다루는 인지적 접근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블랙박스' 내부 행동주의자들은 행동 연구에 매우 과학적으로.. 2024. 4. 10.
현대 지각 연구의 기초를 마련한 ‘게슈탈트 심리학’ 20세기 독일에서 기능주의와 구성주의에 대응하여 등장한 게슈탈트 심리학은 전체가 부분의 합 이상이라는 것을 강조하며, 현대 지각 연구의 기초를 마련했다고 평가됩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전체로서의 형태, 모양이라는 의미를 지닌 독일어 ‘게슈탈트(Gestalt)’를 사용해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이며 인간은 어떤 대상을 개별적 부분의 조합이 아닌 전체로 인식하는 존재라고 주장하는 심리학파 입니다. 게슈탈트 심리학은 1900년대 초 독일에서 발전한 심리학 사조로서 구성주의 심리학에 반대하여 “전체는 부분의 합과 다르다”고 주장하면서, 지각된 내용을 하나의 전체로 통합하고 분리된 자극들을 의미 있는 유형으로 통합하는 데 초점을 두고 학습, 기억, 문제해결 등의 지적 활동에서 지각 중심적인 해석을 강조한 심리학이며.. 2024. 4. 9.
인간 행동을 이해하려는 성격 연구 오늘날에도 여전히 우리 인간의 성격을 이야기할 때는 히포크라테스가 기원전 400년에 개발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고 하는데요. 히포크라테스는 침착한 사람들은 점액 수치가 높다고 여겨 ‘점액질’이라고 묘사했으며, 낙관적인 사람들은 혈액이 많다고 생각해 ‘다혈질’이라고 묘사했고, 우울한 사람들은 ‘우울’ 농도가 높아 ‘우울질’이라고 여겼으며, 또 짜증을 잘 내는 사람들은 담즙이 많고 ‘담즙질’이라고 생각했습니다. 히포크라테스는 이런 체액의 균형이 성격 유형에 차이를 빚는다고 결론 내렸는데요. 성격에 생물학적 기반이 있다는 히포크라테스의 관점은 기분과 행동을 노르아드레날린과 세로토닌 같은 뇌의 화학물질(신경전달물질)과 연결하는 현대 이론가들에게 반향을 일으켰다고 합니다. 하지만 성격은 기분과 기질을 묘사하는 데.. 2024. 4. 9.
아이가 세상을 받아들이는 순서 ‘장 피아제의 인지 발달 단계와 도식’ 스위스에서 태어난 장 피아제는 인지 발달 및 어린이의 지식 습득 방법에 대한 연구를 이끈 인물인데요. 그는 생물학과 심리학을 통합해 기본적인 학습 이론을 세웠고, 그 이론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장 피아제 장 피아제는 스위스의 심리학자, 논리학자, 제네바 대학 교수였습니다. 그는 지적 활동에 대한 심리학적 이론에서 많은 공헌을 하였는데, 아동심리에 대해서 특히 깊은 조예를 갖고 있었습니다. 그의 심리학적-논리학적 구상은 발생적, 역사적, 비판적으로 지식을 분석하는 것이며, 그럼으로써 주관이 대상에 대해서 갖는 지식의 발전은 그 지식을 단단하고 확고하게 하여, 일정한 불변적인 것이 되어 가는데, 이렇게 되는 것은 지식이 대상 및 대상의 여러 성질을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024. 4. 9.
나만의 롤모델이 필요한 이유 '사회 학습 이론' 앨버트 밴듀라(Albert Bandura)는 1963년에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ning theory)'을 처음으로 제안했습니다. 캐나다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 앨버트 밴듀는 1977년 출간한 《사회학습이론》을 통해 사회학습이론의 학문적 발판을 마련한 심리학자로, 초기에는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 출발해 나중에는 인지적 측면을 중시하는 사회학습이론을 발전시켰습니다. 밴듀라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것을 모방하면서 행동하는 법을 학습한다고 주장했는데요, 사회 학습 이론은사람의 행동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상황을 관찰하거나 모방한 결과로 이루어진다는 교육심리학 이론입니다. 사회학습이론에서는 밖으로 드러나는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는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달리, 인간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인.. 2024.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