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기록장17

책을 읽다 모르는 단어 '현행화(現行化)' 뜻 의미 사용처 사용방법 책을 읽거나 문서를 보다보면 ‘현행화’란 말이 종종 보이는데요. 현행화 라는 말은 국어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일본식 표현이라고 하는데, 그래도 무슨 뜻인지는 알고가면 좋을 것 같아 현행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행화란 무엇일까요? 현행화는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현행(現行)'에 '그렇게 만들거나 됨'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화(化)'가 붙은 말입니다. 즉, 현재 행하여지게 만들거나 되는 것을 현행화라고 합니다. √ 지난 자료를 현재시점에 맞게 고침 √ 현재에 맞게 정보를 갱신하는 일 √ 현재의 상태에 맞게 데이터를 갱신하는 일 √ 현재의 실제 상태를 반영하여 데이터를 갱신하는 일 √ 구성요소의 변경사항을 반영하는 활동 현행화는 주로 데이터나 시스템과 관련된 용어로 쓰인다고 합니다... 2023. 5. 18.
키치(Kitsch) - B급 문화를 대표하는 단어의 뜻, 유래, 활용 그리고 아이브 노래 요즘 아이브(IVE)의 노래 ‘키치(Kitsch)’ 때문에 ‘키치(Kitsch)’라는 단어를 많이 들으셨죠? 저도 노래를 듣다가 키치의 뜻이 생각이 안 나서 검색을 몇 일전에 했었는데, 또 그새 까먹고 오늘 책을 읽다가 ‘키치(Kitsch)’라는 단어가 많이 나와서 다시 한 번 알아보았네요..^^; 그래서 오늘은 ‘키치(Kitsch)’의 뜻과 유래 등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키치(Kitsch)란 무엇일까요? 키치는 원래 "값싸게 만들다"라는 뜻을 가진 독일어 동사 verkitschen이 어원 으로, ‘키치’의 원래 의미는 고미술품을 모방한 복제품이나 통속적인 미술품을 말합니다. 키치는 미학에서 보기에 기이하고 저속한 "나쁜 예술"의 미적 가치를 뜻하는 말인데요. 키치는 하찮은 모조품, 저급한 것.. 2023. 5. 10.
문샷싱킹(Moonshot Thinking)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생각할 것인가? 송길영 작가의 라는 책을 읽다가 3. 적응 – 생각의 현행화 중 ‘또 한번의 문샷’이라는 챕터에 나오는 문샷씽킹 이라는 단어의 뜻이 정확히 무엇인지 궁금해 알아본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중 ‘또 한번의 문샷’ 내용 요약 환경이 바뀌면 그에 따른 시스템과 문화와 기술이 새롭게 적용될 수 있도록 혁신해야 합니다. 있는 걸 그대로 쓰는 게 아니라 전체를 어떻게 새롭게 설계할지 고민이 필요합니다. 바로 지금이 그렇습니다. 사회 분화, 장수, 비대면의 확산 등 1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변화로 일하는 방식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알던 기존의 근무, 근로, 직장, 직업 등에 대해 새롭게 정의해봐야 합니다. 어떻게 일해야 하고 나는 어떤 역할을 맡고 있으며, 내 삶의 지향점은 무엇인지 고민.. 2023. 5. 8.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는 이유 ‘복리의 법칙 효과’ 이 글은 롭 무어의 라는 책을 읽다가 인상 깊었던 챕터를 제 자신에게 기록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돈은 돈을 끌어들인다. 알버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은 복리의 법칙(The Law of Compounding)을 세계 8대 불가사의라고 불렀다. 골프를 치면서 약간의 돈 내기를 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첫 홀에 1,000원을 걸고 그다음 홀마다 거는 돈을 두 배씩 늘린다고 하면, 언뜻 보기에는 별로 큰 금액이 걸린 판이 아닌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각 홀마다 돈이 두 배로 늘어나면 9홀에서는 25만 6,000원이 된다. 사실 이건 아무것도 아니다. 15홀을 돌면 1,638만 4,000원이 된다. 복리 효과로 인해 적은 돈이 엄청나게 큰돈으로 늘어난다. 18홀을 돌면 내기 금액은 1억 3,.. 2023. 5. 3.
톰 피터스(Tom Peters)는 누구? 경영학계 3대 구루, 약력, 책, 어록 요즘 이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일의 대가로 질을 따져라’라는 주제에서 작가님이 경영에 관심이 있다면 ‘톰 피터스(Tom Peters)’의 모든 책을 반드시 읽으라고 하셔서 ‘톰 피터스(Tom Peters)’가 누군인지 갑자기 궁금해져서 찾아본 내용을 블로그에 포스팅 하게 되었습니다. 시작하기 전 아래는 에 나오는 ‘톰 피터스(Tom Peters)’와 관련된 구정을 적으며 시작하겠습니다. “톰 피터스(경영에 관심이 있다면 이 사람의 모든 책을 반드시 읽어라 : 내가 나의 글에서 인용만 하고 읽으라는 말을 하지 않는 책들은 안 읽어도 되는 책들이라고 보면 된다)” 톰 피터스 약력 1942년 11월 미국에서 태어난 ‘톰 피터스(Tom Peters)’는 피터 드러커, 마이클 포터와 함께 경영학계 3대 구루(G.. 2023.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