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깃데이트펀드(TDF)는 최근 퇴직연금 분야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TDF의 순자산은 15조 원을 넘겼으며, 이 펀드는 은퇴 시점에 따라 자산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글라이드 패스’ 전략을 따릅니다.
글라이드 패스 전략이란 젊을 때는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에 투자해 수익률을 높이고, 은퇴가 가까워질수록 채권과 같은 안정적인 자산으로 옮겨가는 방식입니다. 이러한 자동화된 투자 전략이 많은 직장인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오고 있는 듯 하네요.
TDF 작동 방식 : 글라이드 패스 전략
TDF의 작동 방식: 글라이드 패스 전략
TDF의 핵심 특징은 투자자의 나이와 은퇴 시점에 따라 자산 배분이 자동으로 조정된다는 점입니다. 투자 초기에는 주식, 성장주, 고수익 채권과 같은 고위험 자산에 집중하며, 은퇴가 가까워지면 배당주, 국채 등 더 안정적인 자산으로 포트폴리오가 이동합니다.
이 전략을 "글라이드 패스"라고 부르며, 은퇴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위험을 줄여 나가는 방식입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젊을 때 높은 수익을, 은퇴가 다가올 때는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2040년경에 은퇴할 계획이라면 TDF 2040에 가입하면 자동으로 해당 시점에 맞춰 자산이 조정됩니다.
인기 급상승
TDF의 성장세는 매우 빠르다고 하는데요. 2016년 한국에 처음 도입된 TDF는 2018년 말까지만 해도 순자산이 1.1조 원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5년 만에 자산 규모는 약 14배 증가했습니다. 또한 퇴직연금의 디폴트 옵션 도입으로 인해 TDF에 대한 관심은 더 크게 늘어났으며, 올해만 1.48조 원의 순유입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작년 순유입액(3940억 원)의 4배에 달하는 수치입니다.
TDF의 성과
TDF는 편리함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성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올해 TDF의 평균 수익률은 10.09%로, 국내 주식형 펀드의 평균 수익률(-3.99%)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2022년 한 해를 제외하면, TDF는 매년 원리금 보장 상품보다 훨씬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 왔습니다. 2018년 이후 TDF의 연평균 수익률은 8.1%에 달합니다.
올해 성과가 뛰어난 TDF 상품으로는 다음이 있습니다:
→ 한국투자 TDF 알아서ETF포커스 : 2030(12.61%), 2045(15.76%), 2060(17.67%) 빈티지에서 최고 수익률을 기록.
→ NH-Amundi 하나로 TDF : 2025(11.38%) 및 2035(13.73%) 빈티지에서 최고 성과.
→ 미래에셋 전략배분TDF : 2040(14.66%) 빈티지에서 1위를 기록.
TDF와 은퇴 계획
TDF와 은퇴 계획
TDF는 일반적으로 투자자의 목표 은퇴 시점을 기준으로 연도가 붙어 출시됩니다. 예를 들어, TDF 2025, 2030, 2040과 같이 다양한 상품이 있으며, 은퇴 목표 연도에 따라 자산 배분이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이로 인해 바쁜 직장인들은 자신이 직접 포트폴리오를 관리하지 않고도 효율적인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TDF 인기 이유
▶ 편리함 : 자산 배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습니다.
▶ 위험 관리 : 은퇴 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위험이 줄어드는 전략으로 안정성을 추구합니다.
▶ 꾸준한 성과 : 시장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TDF는 은퇴를 준비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한 투자 솔루션입니다. 자동으로 자산 배분을 조정하는 기능과 일관된 성과 덕분에, 퇴직연금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디폴트 옵션의 도입과 함께, TDF는 앞으로도 더욱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투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와 도지코인: 그가 도지코인을 사랑하는 이유는? (2) | 2024.11.15 |
---|---|
안정적 수익을 위한 배당주 장단점 그리고 투자 시기와 고르는 법 (2) | 2024.11.03 |
금융투자세 논란 이유 정리, 국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11) | 2024.10.08 |
Fed 빅컷 결정: 경기둔화 대응과 시장 전망- 빅컷 뜻, 점도표 뜻 등 (1) | 2024.09.20 |
리쇼어링, 니어쇼어링, 프랜드쇼어링: 글로벌 비즈니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4.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