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에 빠져나가는 고정비, 이제는 넷플릭스와 유튜브 프리미엄만이 아닙니다. 최근엔 챗GPT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까지 구독 목록에 추가되면서, ‘디지털 월세’라는 말까지 등장했죠.
직장인 A씨의 디지털 월세는?
20대 직장인 주 모 씨는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외에도 챗GPT, MS 365, 링크트인 유료 멤버십 등 다양한 서비스를 구독 중입니다. 단순히 여가용을 넘어 커리어, 업무, 학습까지 디지털 구독에 의존하는 시대가 도래한 셈이죠.
💰 유튜브 프리미엄 14,900원 + 넷플릭스 13,500원 + 멜론 10,900원 = 약 4만 원 여기에 챗GPT 등 AI 구독 2개만 더해도 월 10만 원에 육박합니다.
AI 구독 서비스의 폭발적 성장
KB국민카드에 따르면 2024년 디지털 구독 지출은 전년 대비 17.1% 증가했고, 생성형 AI 유료 구독은 무려 299% 증가해 1년 새 4배 이상 급증했습니다.

챗GPT는 기본 요금이 20달러부터 시작하지만, 글로벌 유료 이용자가 이미 2천만 명을 돌파했으며, 그 구독 수익만으로 매달 약 6,000억 원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대안 찾는 소비자들
고정 지출 부담이 커지면서, 소비자들은 공유·무료 대체 서비스를 찾아 움직이고 있습니다.
- 💳 구독 할인 특화 신용카드로 갈아타기
- 👨👩👧👦 가족·지인과 계정 공유
- 🔄 무료 AI 서비스 탐색 (뤼튼, 앨런, oo.ai 등)
- 📝 오픈소스 도구 활용 (예: 리브레오피스 vs MS 365)
📌 갬스고 같은 공유 플랫폼에서는 챗GPT Plus 요금제(월 22달러)를 6인 공유 시 월 5.67달러에 사용할 수 있어요.
앞으로 우리는 더 많이 구독하게 될까?
시장조사에 따르면, 2030세대는 이미 생성형 AI를 학습과 업무에 활용 중이며 새롭게 구독하고 싶은 서비스 1위로 AI 서비스를 꼽았습니다. 이는 구독이 선택이 아닌 ‘기본 인프라’가 되는 흐름으로 해석되죠.
다만, 구독이 늘수록 그만큼 사용자의 체감 부담도 커지는 만큼 스마트한 소비 전략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생각끄적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만을 위한 ‘가치’,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 마케팅보다 먼저 알아야 할 이야기 (0) | 2025.04.10 |
---|---|
요즘 내가 진짜 원하는 건 뭘까? 나의 욕구를 알아보는 3단계 자기 점검법 (0) | 2025.04.09 |
요즘 왜 ‘느린 삶’이 인기일까? 바쁘지 않게 살아가는 용기 (0) | 2025.04.06 |
2025년 주목해야 할 K-뷰티 트렌드: 최신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동향 (0) | 2025.04.05 |
요즘 직장인들 사이에서 뜨는 ‘디지털 미니멀리즘’ 실천법 (1)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