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미국 전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전 세계를 향해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를 선언하면서 국제 경제에 큰 파장이 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말하는 '관세'란 도대체 무엇일까요?
관세란?
관세는 국가 간 수입·수출 거래에서 해외에서 들어오는 상품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주로 수입품에 부과되며, 국내 산업을 보호하거나 국가 재정을 확보하는 데 사용됩니다.
관세의 주요 목적
- 국내 산업 보호: 외국 상품보다 자국 상품이 더 경쟁력 있게 만들기 위함
- 국가 재정 확보: 수입품에 부과된 세금이 국가 수입원이 됨
- 무역 협상 도구: 외교적 압박 또는 무역 보복 수단으로 활용됨
💡 예시: 만약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에 10%의 관세를 부과한다면, 미국 자동차의 수입가는 10% 높아지게 되고 이는 가격 경쟁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트럼프의 '상호관세'란?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s)는 상대국이 미국 상품에 부과한 만큼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되돌려주겠다는 정책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한국이 미국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매긴다면, 미국도 한국 자동차에 동일한 수준의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죠.
관세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물가 상승: 수입 제품 가격 상승 → 소비자 부담 증가
- 무역 갈등: 서로 관세를 높이면 보복성 조치가 반복됨
- 국내 산업 보호: 단기적으로는 긍정적 효과 가능
- 글로벌 공급망 붕괴: 부품이나 자재 수입에도 타격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대한민국처럼 수출 중심 국가에게는 관세 정책 변화가 매우 민감하게 작용합니다. 특히 미국과의 교역량이 큰 만큼, 트럼프의 재등장과 함께 무역 환경의 불확실성이 다시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 관세 정책 하나가 단순한 '세금'의 의미를 넘어서, 경제, 외교, 산업까지 전방위적 영향을 미치는 도구라는 점을 기억해 두면 좋겠습니다.
'금융지식쌓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주주수익률(TSR)이란?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지표! (0) | 2025.03.20 |
---|---|
자동차 종합보험 vs 책임보험 차이 | 헷갈리는 자동차 보험 총정리 (0) | 2025.03.06 |
최저시급 10,030원 알바, 4대 보험 가입하면 실제 월급은 얼마일까? (0) | 2025.02.26 |
1억원으로 상향 예정인 ‘예금자보호한도’란 무엇이고 상향 시기는 언제? (0) | 2025.02.21 |
구인배율과 구직배율, 노동 시장의 온도를 측정하는 두 가지 지표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