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이나 글을 읽다가 ‘결락’이라는 단어를 본 적이 있나요?
어딘가 어려워 보이는 이 단어, 뜻을 몰라서 문맥을 이해하기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될 거예요.
저도 최근 ‘각각의 계절’이라는 책을 읽다가 “그 뼈아픈 결락에 대한 무지와 무력감의 표현일 수도 있다.”라는 문장을 마주했는데, ‘결락’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모르겠는거에요.
‘결락’은 일상에서는 자주 쓰이지 않지만 문학, 철학, 논리학 등 학술적인 글이나 심리학, 예술 비평에서도 종종 등장하는 단어라고 하는데요.
의미를 정확히 알고 나면 문맥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는 단어!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볼까요?
결락 뜻
‘결락(缺落)’은 한자 그대로 풀어보면 ‘모자랄 결(缺)’과 ‘떨어질 락(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두 글자가 합쳐져서 ‘있어야 할 어떤 부분이 빠지거나 없어짐’을 뜻합니다.
더 구체적으로는,
※ 이어져야 할 것이 끊긴 상태
※ 중간에 중요한 부분이 빠져버린 상태
예를 들어:
▷ 글이나 문서에서 내용의 일부가 빠진 상태
▷ 논리나 사건의 전개에서 중요한 연결고리가 사라진 경우
▷ 이야기 흐름이 불연속적으로 이어져 독자가 맥락을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

즉, ‘결락’은 자연스럽게 이어져야 하는 부분이 비거나 빠진 상태를 말해요.
일상 속 '결락'의 예
‘결락’이라는 단어는 낯설지만, 우리는 일상에서도 결락의 상황을 종종 겪곤 해요.
다음과 같은 경우를 떠올려보세요.
● 드라마나 영화 시청 중
중요한 장면이 편집되어 스토리 전개가 어색하거나 인물의 행동이 이해되지 않았던 경험,
→ “아, 중간 부분이 결락돼서 내용 이해가 안 되네!”
● 대화 중
친구가 이야기를 하다가 갑자기 앞뒤 연결이 안 되는 말을 해서 무슨 말인지 헷갈렸던 경험,
→ “너 방금 말한 부분이 좀 결락된 것 같은데? 다시 설명해줘!”
● 책이나 기사 읽기 중
중요한 설명이 빠져 있어서 내용을 이해하기 어려웠던 경험,
→ “이 부분은 논리적 결락이 있어서 설득력이 부족하네.”
이처럼 ‘결락’은 일상 대화나 경험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단어랍니다.
다양한 분야에서의 '결락'
‘결락’은 특히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자주 사용돼요.
○ 문학과 예술 비평에서
서사 구조나 플롯 전개에서 중요한 부분이 생략되어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울 때 ‘결락’이 있다고 말해요.
예: “소설의 결말 부분이 결락돼 있어서 열린 결말로 해석될 수 있다.”
○ 논리학과 철학에서
논증이나 논리 전개에서 핵심 연결고리가 빠져 있을 때 사용해요.
예: “이 논문은 가설을 뒷받침하는 데이터가 결락돼 있다.”
○ 심리학에서
인간의 기억이나 인식에서 특정 사건이나 경험이 빠져나간 상태를 설명할 때도 써요.
예: “트라우마로 인해 그 시기의 기억이 결락됐다.”
이처럼 ‘결락’은 단순히 ‘빠진 부분’을 넘어서, 맥락과 논리의 단절을 설명할 때 유용한 단어예요.
'결락'과 비슷한 단어 비교
‘결락’과 비슷하지만 미묘하게 다른 뜻을 가진 단어들이 있습니다.
이 단어들과 비교하면 ‘결락’의 의미를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어요.
◐ 누락(漏落)
주로 의도치 않게 빠뜨린 경우에 사용.
예: “회의록 작성 중 중요한 사항이 누락됐다.”
→ 실수로 빠뜨리거나 작성하지 않은 상태를 말해요.
◐ 생략(省略)
의도적으로 줄이거나 뺀 경우.
예: “내용이 길어서 중간 부분을 생략했다.”
→ 독자의 이해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부분을 의도적으로 빼는 경우예요.
◐ 결여(缺如)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이 없는 상태.
예: “그는 공감 능력이 결여돼 있다.”
→ 본질적으로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 결락(缺落)
이어져야 하는 부분이 빠져서 자연스러운 흐름이 끊긴 상태를 말해요.
예: “스토리의 개연성이 결락돼 있다.”
→ 이야기 흐름에서 중요한 연결고리가 빠져 있어서 독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상태.


'결락'이 주는 의미와 여운
‘결락’은 단순히 ‘빠진 부분’을 넘어서, 독자로 하여금 상상하게 만들고 해석의 여지를 주는 효과를 가져올 때도 있습니다.
특히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서 의도적인 결락은 독자가 그 빈 부분을 스스로 채우며 작품에 더 깊게 몰입하게 만들어요.
▣ 영화에서 열린 결말
마지막 장면이 결락돼 있어서 관객이 이후의 이야기를 상상하게 만드는 방식.
예: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 인셉션의 엔딩 장면.
▣ 시(詩)에서의 생략
중요한 감정이나 사건을 직접적으로 서술하지 않고 결락시킴으로써 독자가 그 감정을 느끼게 만드는 방식.
이처럼 결락은 독자나 관객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여운을 남기는 문학적 장치로도 쓰입니다.
‘결락’은 흔히 쓰이는 단어는 아니지만, 맥락이나 논리 전개에서 중요한 개념이에요.
특히 글을 읽거나 영화를 감상할 때 결락을 이해하면 작품을 더 깊이 해석하고 감상할 수 있답니다.
이제 ‘결락’이라는 단어가 나와도 당황하지 않고 문맥에 맞게 이해할 수 있겠죠?
앞으로 책이나 영화를 볼 때 ‘결락’의 개념을 떠올리며 더 깊이 있는 감상을 즐겨보세요!
'독서기록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화와 회복의 균형, 건강한 관계를 위한 연습 (0) | 2025.02.27 |
---|---|
‘교호적’ 뜻은? – 서로 상관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단어 (0) | 2025.02.24 |
자투리 시간 활용! 쉬운 투잡 7가지로 소소한 수익 만들기 (0) | 2025.02.15 |
유럽 1강 제조업의 강자, 독일 경제가 몰락하는 이유 정리해서 알아보기 (0) | 2025.01.09 |
나폴레온 힐의 ‘생각하라 그리고 부자가 되라’로 배우는 6단계 부자되는 법 (1)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