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면역력이 떨어지기 쉬운 시기에는 다양한 질환이 기승을 부립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조심해야 할 질환이 바로 '대상포진'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상포진의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법을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대상포진 이란?
대상포진(帶狀疱疹, Herpes Zoster)은 신체의 한쪽 피부에 띠 모양으로 발진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이는 어릴 때 감염됐던 수두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가 척수와 신경절에 숨어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면 재활성화되며 발생합니다.
대상포진 주요 원인
1. 면역력 저하 : 극심한 스트레스, 과로, 수술 후 회복 등으로 신체 면역력이 약화될 때 발생
2. 심한 스트레스 :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 스트레스는 대상포진 발병 위험을 크게 증가시킵니다.
3. 고령 : 50세 이상에서는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
4. 질병 : 암, 당뇨, 류머티즘 등 면역에 영향을 주는 만성 질환 보유
5. 겨울철 추위 : 한파로 인해 체온 조절과 면역력이 약화되기 쉬움
대상포진 주요 증상
1. 전구 증상
- 발진이 나타나기 1~7일 전 가려움, 저림, 피로감, 미열 등이 발생
- 80% 환자에서 나타나는 초기 증상
2. 피부 발진 및 통증
- 피부 발진이 신경을 따라 몸 한쪽에 띠 모양으로 나타남
- 붉은 반점에서 물집으로 발전하며, 통증과 함께 화끈거리는 느낌이 동반
3. 무발진 대상포진
- 드물게 발진 없이 신경 통증만 있는 경우도 있음(무발진 대상포진)
- 진단 및 치료 지연 시 대상포진후신경통으로 이어질 수 있음
4. 합병증
- 대상포진후신경통 : 발진이 사라진 뒤에도 통증이 남는 경우로, 고령층에서 흔함
- 람세이헌트증후군 : 안면 신경과 청신경 침범 시 안면마비, 청력 저하 발생
- 심각한 감염 : 뇌수막염, 심내막염 등 치명적 합병증 초래 가능
대상포진 주요 발생 부위
● 흉부 : 가장 흔하며 전체의 50~70%
● 얼굴 및 두피 : 안구와 귀를 포함한 경우, 시력 손실이나 청력 감소 유발 가능
● 신체 기타 부위 : 목, 허리, 둔부, 복부 및 하지 등
대상포진 치료 방법
1. 항바이러스제
- 대상포진 발생 초기(발진 후 72시간 이내)에 투여
-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고 신경 손상을 최소화
2. 진통제와 항경련제
- 통증 완화를 위해 병행
- 대상포진후신경통 예방에도 도움
3. 신경 치료
- 통증 완화 및 신경 손상 예방을 위해 신경 차단술 적용
4. 특별 관리
- 안구 대상포진: 안과 치료 병행
- 전신 합병증: 관련 진료과와 협진 필수
대상포진 예방법
1. 대상포진 백신 접종
- 50세 이상 대상포진 위험군에게 적극 권장
- 생백신 : 예방 효과 51~70%, 면역억제 상태에서는 접종 불가
- 사백신 : 예방 효과 70~97%, 면역억제 환자도 접종 가능
2. 생활 속 면역 관리
- 균형 잡힌 식사와 충분한 수면
- 규칙적인 운동으로 체력 유지
- 스트레스 관리 및 과로 방지
3. 철저한 위생 관리
- 개인 위생 및 손 씻기 습관화
- 대상포진 환자와의 접촉 최소화
대상포진 주의 사항
▷ 초기의 통증이나 가려움을 방치하면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습니다.
▷ 발진이 없는 경우도 있으니 신체 한쪽의 지속적 통증이 있을 경우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야 합니다.
▷ 합병증 위험이 높은 환자는 정기적으로 의료진과 상담하며 관리해야 합니다.
대상포진은 면역력 저하와 밀접하게 연관된 질환으로, 누구나 발병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한파와 스트레스에 대비해 체력을 키우고,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면역력을 높이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입니다. 특히 위험군에 해당하거나 초기 증상이 있다면 빠른 전문의 상담과 적절한 치료로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은 요즘 같이 추운 겨울, 대상포진 걱정 없는 건강한 시즌이 되시길 바랍니다!
'궁금했던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지테리언 채식주의자 단계와 차이점, 나에게 맞는 채식은? (0) | 2025.01.13 |
---|---|
챗Gpt의 대항마로 주목받는 생성형 AI 클로드(Claude)의 ‘앤스로픽(Anthropic)’은 어떤 회사? (0) | 2025.01.10 |
2025년 을사년, 달라지거나 새롭게 생긴 정책과 지원책 한 번에 알아보기 (3) | 2025.01.02 |
비문증 - 눈앞에 떠다니는 '무언가', 그 원인과 대처법 (0) | 2024.12.24 |
"쌈뽕하다"와 "깔롱하다"의 진짜 뜻과 유래 (2)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