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공부

미국 주식 투자 수익 실현 후 양도소득세 아끼는 방법 - 똑똑한 절세 전략!

by 7hinking 2024. 12. 27.

요즘 미국 주식투자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미국 주식에 투자한 후 양도차익이 발생했을 때, 이를 잘 관리하면 세금을 크게 아낄 수 있습니다. 절세의 기본은 자신이 받은 수익을 어떻게 분산시키고 관리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오늘은 해외 주식 투자자의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기본 개념 이해하기

 

해외 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는 해외 주식 거래로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 부과됩니다.

 

양도차익 계산 방법

양도차익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매매수수료 + 기타비용)

 

기본 공제

연 250만 원까지의 양도차익은 비과세 대상입니다. 즉, 매년 발생한 차익이 250만 원 이내라면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 세율: 250만 원을 초과한 금액의 22% (지방세 포함)가 세금으로 부과됩니다.

 

 

◎ 예시 : 한 해에 400만 원의 양도차익이 발생했다면, 250만 원을 초과한 150만 원에 대해 22%의 세율이 적용돼 33만 원의 세금을 내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절세전략 - 1. 수익 분산 실현

 

수익은 한 해에 몰아서 실현하는 대신 매년 비과세 한도(250만 원)를 최대한 활용해 분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략 예시

→ A 주식에서 250만 원의 수익 발생

B 주식에서 250만 원의 수익 발생

▶ 방법 : 올해 A 주식을 매도하고, 다음 해 B 주식을 매도 → 세금 0원

만약 두 주식을 같은 해에 한꺼번에 매도한다면, 수익 250만 원 초과분에 대해 55만 원(250 × 22%)의 세금 발생됩니다.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 2. 손익 합산으로 세금 줄이기

 

수익이 발생한 종목과 손실이 난 종목이 있다면 같은 해에 매도해 양도소득을 합산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전략 예시

A 주식을 매도해 400만 원의 수익 발생

B 주식을 매도해 150만 원의 손실 발생

총 양도차익 = 400 - 150 = 250만 원 → 비과세로 세금 0원!

만약 이 두 주식을 다른 해에 각각 매도했다면, A 주식에 대해 150만 원의 초과분 세금(33만 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 절세 전략 - 3. 수익 실현 후 다시 매수

 

장기적으로 특정 주식을 계속 보유하고 싶다면 수익 실현 후 재매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거래 수수료가 추가로 들지만, 이후 주식 가격 상승으로 인한 차익에 대한 비과세 한도를 다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세금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ETF 투자자라면 이것도 꼭 확인

 

해외 주식형 ETF

해외 증시에 상장한 ETF는 해외 주식과 동일하게 양도차익에 대해 연 250만 원 공제 후, 22%의 양도소득세를 부과합니다. 분배금(배당)은 15.4%의 배당소득세 원천징수되구요.

 

 

국내 상장 해외 주식형 ETF 

양도차익과 분배금에 대해 15.4%의 배당소득세가 적용

 

ETF의 경우 주식 투자와 세금 계산 방법이 다를 수 있으므로 투자 전 명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2024년 세금 기준 - 매도 타이밍이 중요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는 1년 동안 실현된 손익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중요한 점은 세금 기준일이 최종 결제일이라는 것입니다.

 

미국 시장의 경우

2024년 거래 기준으로 포함되려면 한국 시간 12월 27일까지 매도가 완료되어야 합니다. 이는 결제일이 아닌 체결일을 기준으로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미국 주식 투자로 발생하는 수익을 최적화하려면 양도소득세 규정을 잘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매년 비과세 한도를 활용해 수익을 분산

손익을 합산해 손실을 줄이는 효과 활용

필요한 경우 수익 실현 후 재매수

 

이를 통해 세금을 줄이고 장기적으로 더 큰 수익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투자도 중요하지만, 세금을 관리하는 것도 재테크의 한 축임을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