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조직이든 보면 유독 성과를 많이 내는 사람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죠. 이처럼 소수의 인재가 다수의 성과를 이끌어낸다는 개념을 설명하는 법칙이 있습니다. 바로 프라이스의 법칙입니다.
프라이스의 법칙이란?
영국 과학사학자 데릭 J. 드 소울라 프라이스가 제안한 이 법칙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어떤 조직에서 전체 성과의 절반은 상위 √N명이 만들어낸다. (여기서 N은 전체 인원의 수)
예를 들어 회사에 직원이 100명 있다면, 그 중 약 10명(√100)이 전체 성과의 50%를 만들어낸다는 의미입니다.
왜 중요한 개념일까?
- 성과는 일부 인재에 집중된다는 것을 데이터로 설명
- 인재 발굴과 유지가 조직 성과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침
- 평균의 오류에 빠지지 않고, 진짜 핵심 인력을 찾는 기준이 됨
많은 기업이나 조직에서 성과를 고르게 내는 것보다 ‘성과 중심의 소수 인재’를 집중 육성하고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걸 보여주죠.

프라이스의 법칙 vs 파레토 법칙
구분 | 프라이스의 법칙 | 파레토 법칙 |
---|---|---|
핵심 내용 | √N명이 전체 성과의 50%를 만든다 | 상위 20%가 80%의 결과를 만든다 |
적용 분야 | 조직, 연구, 창작 등 | 판매, 매출, 생산성 등 |
강조하는 점 | 성과가 극소수에 집중된다는 점 | 비효율적인 80% 개선보다 상위 20% 유지가 중요함 |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
- 모두를 똑같이 잘하게 만들 수는 없다는 현실 인식
- 소수 인재의 중요성을 조직적으로 이해하고 보호하는 전략 필요
- 성과가 안 나는 다수보다, 핵심 성과자에 대한 투자가 더 효율적
💡 인재는 많지 않습니다. 조직의 진짜 성과는 상위 몇 명의 집중도에서 결정됩니다.
마무리하며
‘모두가 똑같이 잘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벗어나 누가 진짜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 지금 시대의 경쟁력을 만드는 핵심입니다.
당신이 리더라면, 프라이스의 법칙을 기억하세요. 당신이 구성원이라면, 상위 √N 안에 들어가길 꿈꾸세요!
'궁금했던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황은 어떻게 선출될까? 교황의 역할과 영향력까지 한눈에 보기 (0) | 2025.04.22 |
---|---|
이데올로기 란? 단어 이상의 의미와 우리의 일상 속 사용 예시 (0) | 2025.04.18 |
빠르게 걷기의 놀라운 효과! 하정우 걷기법과 과학적 근거까지 (1) | 2025.04.16 |
이걸 끄면 뇌가 10년이나 젊어진다는 스마트폰 기능은 무엇? (0) | 2025.04.07 |
요즘 왜 증여보다 양도를 택할까? 가족 간 자산이전 전략 비교 (1)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