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궁금했던거

2천만 원대 전기차로 한국시장에 진출하는 ‘BYD’는 어떤 회사?

by 7hinking 2025. 1. 18.

테슬라를 제치고 전기차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한 중국 BYD가 전기차 보조금을 받을 경우 2천만 원대로 구매가 가능한 아토3 모델을 시작으로 국내 시장에 진출했는데요. 전기차(EV)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주목할 만한 기업은 바로 중국의 BYD(Build Your Dreams)입니다.

 

세계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BYD는 전기차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재생 에너지 솔루션을 통해 미래 친환경 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중국 기업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BYD의 역사, 주요 제품, 그리고 성공 요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BYD의 시작과 성장

 

BYD는 1995년 왕촨푸(Wang Chuanfu)가 설립한 회사로, 초기에는 배터리 제조를 전문으로 했습니다. 그러다 2003년에는 자동차 제조 사업에 진출하며 전기차 분야에서의 혁신을 가속화했습니다. 오늘날 BYD는 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와 함께 주요 선두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전기버스 및 승용차 시장에서도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BYD 주요 제품과 기술

 

BYD는 단순한 전기차 제조를 넘어 배터리 기술, 에너지 저장 시스템, 재생 가능 에너지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뤄냈습니다.

 

1. 전기차 라인업

BYD는 최근 5년간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였는데, 5년동안 약 130배 이상 성장하며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에서 테슬라를 제치고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BYD의 자동차 라인업은 일반 대중을 타깃으로 삼는 차량부터 럭셔리카에 이르기까지 제품군이 다양하다는 점도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요소라고 하는데요. 1000만원대에서 4000만원대가 주류인 대중 브랜드에 속하는 BYD는 Dynasty Series와 Ocean Series로 구분됩니다.

 

Dynasty Series는 한(Han), 당(Tang), 진(Qin), 송(Song), 유안(Yuan, ATTO 3) 등 중국적 색채가 담겨졌으며, Ocean Series는 씰(Seal), 돌핀(Dolphin), 시걸(Seagul) 바다의 미학을 컨셉으로 삼아낸 게 특징입니다.

 

BYD와 다임러가 합작해 개발한 고급 브랜드인 덴자(Denza)는 D9과 N7, Z9GT 등의 모델 라인업을 갖췄으며, 럭셔리 프리미엄 브랜드로 불리는 양왕(Yangwang)은 2억 1177만원짜리 대형 SUV U8과 3억 2220만원에 달하는 스포츠카 U9 등의 모델로 구분됩니다.

 

 

BYD 그룹은 이 처럼 저가의 대중 브랜드 BYD와 고객 맞춤형 팡청바오 브랜드, 프리미엄·럭셔리를 지향하는 덴자와 양왕 브랜드를 앞세워 두터운 소비자층을 공략한다는 점은 차별적입니다.

 

2. 배터리 기술

BYD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기술의 선두 주자입니다. 이 기술은 안전성과 수명이 뛰어나며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가정용 에너지 저장 장치부터 대규모 산업용 시스템까지 BYD는 다양한 고객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BYD 성공 요인

 

1. 통합적인 사업 모델

BYD는 배터리 제조부터 완성차 생산, 에너지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자체 생산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높은 경쟁력을 자랑합니다.

 

2. 중국 정부 지원과 시장 수요

중국 정부의 강력한 친환경 정책과 보조금 제도는 BYD의 성장을 뒷받침하는 주요 요인이 되었습니다.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친환경 차량에 대한 수요가 BYD의 글로벌 확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3. 지속 가능성을 중시한 혁신

BYD는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재생 가능 에너지와 전기차의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와 투자자로부터 높은 신뢰를 받고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글로벌 확장과 미래 전망

 

BYD는 중국 내수 시장뿐만 아니라 유럽, 북미, 아프리카 등 전 세계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버스 시장에서는 이미 유럽 주요 도시에서 중요한 교통 수단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미래에는 자율 주행 기술과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통해 한 단계 더 도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통해 BYD는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핵심 주자로 자리매김할 전망입니다.

 


 

BYD는 한국 승용차 시장 진출에 맞춰 오프라인 중심 영업망도 구축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전국 주요 지역에 15개의 전시장과 12개의 서비스센터를 순차적으로 오픈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BYD는 세계 친환경차 시장에서 3년 연속 판매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장했지만, 여전히 '중국산' 전기차라는 부정적 인식은 극복할 과제인데요. 과연 BYD가 국내 시장에서 어떤 성과를 보일지 궁금하네요.